코드 휠 : Circle of 5ths


인터렉티브 코드 휠(chord wheel)은 코드 진행 등에 관한 음악의 중요한 기초 이론 중 하나인 5도권(circle of 5ths)을 터치 입력 방식의 모바일 장치에 적합하도록, 그리고
스케일과 코드의 상관관계를 잘 나타내도록 독창적으로 디자인된 앱입니다.
코드 휠(chord wheel) 앱의 화면은
여러 개의 동심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원은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안쪽과 바깥 쪽, 두 개의 회전 가능한 원을
각각 움직여 원하는 악곡을 분석하거나 작곡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습니다.
가장 바깥 쪽의 원은
토닉(tonic), 도미넌트(dominant), 서브도미넌트(sub-dominant), 관계 단조(relative
minor), 관계 장조(relative major), 그리고 음정의 진행 등 음계에 대한 정보를 표시합니다. 그 안쪽의
원에는 5도 음정의 진행 순서에 따라 음 이름이 나열되어 있고, 이 원을 움직여서 스케일의 근음(root)을 지정합니다.
바깥쪽 원을 움직이면 안쪽의 원도 따라서 움직입니다. 그 안쪽의 원에는 해당 스케일의 음정(degree) 및 다이아토닉
코드(diatonic chord)가 표시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그 안쪽의 원을 움직여서 코드를 지정합니다. 바깥쪽의 원의
음 이름을 터치하면 해당 음을 근음으로 하는 다이아토닉 코드(diatonic chord)가 지정됩니다. 안쪽의 원에 코드를
표시하는 대신 또 다른 음의 진행을 표시할 수도 있으며, 이는 조옮김(transpose) 등의 경우에 매우 유용합니다.
동심원의 중심에는 해당 스케일의 조표(signature)가 표시됩니다.
음악 이론에서 5도권(circle of
5ths)이란 불안정한 5도의 음정이 안정적인 1도의 음정으로 진행하려는 성질을 연속적으로 나타낸 원입니다. 코드
휠(chord wheel)은 음악을 분석/작곡하는 작곡가, 편곡자 혹은 음악 이론을 배우는 학습자에게 유용하면서도 강력한
도구입니다.
핸드셋 및 테블릿을 모두 지원합니다. 보다 나은 사용성을 위해서라면 7인치 이상의 테블릿에서 사용하시기를 권해 드립니다.
- 휠의 진행 방향
- 휠의 진행 방향은 시계 방향 및 반시계방향 모두 지원되며, 사용자가 선호하는 방향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 변경 가능한 안쪽 휠
- 안쪽 휠은 필요에 따라 변경할 수 있으며, 코드 휠, 조 옮김 휠, 음정 휠 중 하나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 음계 (Scale)
- 메이저 스케일 및 3가지 마이너 스케일, 그리고 교회 선법 모드들이 지원됩니다. 음계 구성음(Scale tone)은 배경색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구성음 중 하나를 터치하면, 해당 스케일의 다이아토닉 코드로 지정됩니다.
- 다이아토닉 코드 (Diatonic Scale Chord)
- 각 음계 별로 3화음(triad) 및 7화음(7th chord)가 모두 지원됩니다.
- 코드 (Chord) 휠
- 코드 휠은 음계와 화음의 관계를 잘 나타낼 수 있도록 독창적으로 디자인 되었습니다. 각 스케일별로 다이아토닉(diatonic) 코드들이 지원됩니다. 코드 구성음의 음정은 배경색 및 기호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 조 옮김 (Transpose) 휠
- 조옮김을 하려는 경우에는 코드 대신에 음 이름을 표시할 수 있습니다. 안쪽 휠을 키 진행 휠로 바꾸면 됩니다.
- 음정 (Interval) 휠
- 각 음들 사이의 음정을 쉽고 빠르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안쪽 휠을 음정 휠로 바꾸기만 하면 됩니다.
- 코드의 자리바꿈 (Inversion)
- 간단히 버튼을 클릭해서 코드의 근음(bass) 위치를 옮겨 볼 수 있습니다. 자리가 바뀐 코드 음은 피아노 뷰에 표시가 되며 해당 코드음이 연주됩니다.
- 표기 시스템 (Notation System)
- 음을 표기하는 방식은 다양합니다. 이 앱에서는 CDEFGAB, CDEFGAH, 그리고 Fixed-Do 방식을 지웝합니다. 또한, 샾(#) 또는 플랫(♭) 표기 중 선호하는 방식을 지정할 수도 있습니다.
- 피아노 뷰 (Piano View)
- 2 옥타브 크기의 작은 피아노에 해당 스케일 또는 코드 정보를 보여 줍니다. 피아노를 연주할 수도 있습니다.
- 기타 뷰 (Guitar View)
- 기타 프렛 위에 코드 또는 스케일 정보를 보여줍니다. 기타는 튜닝할 수 있습니다.
- 색상과 기호
-
파스텔톤의 무지개색을 배경색으로 사용해서 스케일 및 코드 구성음의 음정을 구분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첫 번째 음은
빨간 색이고, 7번째음은 보라색입니다.
●, △, ★, ◎등의 기호는 각각 1, 3, 5, 7번음을 나타냅니다.
- 음자리표(Clef) & 조표 (Signature)
-
원의 가운데 부분에는 해당 스케일의 조표가 표시됩니다. 높은 음자리표 및 낮은 음자리표 중 하나로 선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 부분을 터치했을 때에 스케일의 종류를 바꾼다거나 안쪽 원의 종류를 바꾸는 등 실행할 동작을 직접 지정할 수 있습니다.
- 소리
- 스케일 및 코드의 소리를 들어 볼 수 있습니다. 코드 음을 연주할 때 펼쳐서 연주할지, 아니면 묶어서 연주할지
지정할 수 있습니다.
피아노, 전자피아노, 그리고 기타 소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내장된 음원은 모두 고음질로 녹음되었습니다.
User's Guide
메이저(major) 혹은 마이너(minor) 등 원하는 스케일 형식을 지정한 후, 바깥쪽 원을 움직여서 해당 스케일의 근음(root)을 지정하세요. 지정된 스케일을 구성하는 다이아토닉 음들은 배경색으로 구분할 수 있어요. 또한, 원의 가운데 부분에는 해당 스케일의 조표(signature)가 표시되요. 화면 아래쪽의 스케일 재생 버튼을 누르면 스케일 음들을 들어볼 수 있어요. 지정된 스케일의 다이아토닉 음들 중 하나를 터치하면 해당 음을 근음으로 하는 다이아토닉 코드가 지정되요.

왼쪽의 그림은 D 메이져 스케일을 지정한 경우예요. 배경 색상이 채워진 것은 해당 스케일의 구성음이란 것을 뜻하죠. D 메이져 스케일의 구성음은 D, E, ♭G, G, A, B, ♭D이며, 토닉은 D, 도미넌트는 A, 서브도미넌트는 G라는 것, 그리고 관계 단조는 B마이너라는 것을 한 눈에 알수가 있죠.
메이저 7th, 도미넌트 7th 등 코드의 형식을 지정하세요. 안쪽의 원을 움직이면 코드의 근음(root)을 지정할 수 있어요. 지정된 코드의 구성 음들은 배경색 및 기호로 구분할 수 있어요. 화면 아래쪽의 코드 재생 버튼을 누르면 코드 음을 들어볼 수 있어요.
왼쪽의 그림에서 D 메이져 스케일의 IIm7 코드는 Em7이란 것을 쉽게 알 수가 있죠. 또한 Em7 코드의 구성음은 E, G, B, D라는 것을 한 눈에 확인할 수가 있어요.
만일, 어떤 곡의 스케일을 찾으려는 경우에는 먼저 스케일의 형식을 지정한 후에 해당 곡의 구성음이 모두 포함되도록 바깥쪽 원을 돌려서 맞추세요. 또는 반대로 근음(root)을 먼저 지정한 후에 스케일 종류를 바꿔가며 찾을 수도 있어요.

오른쪽 그림처럼, 안쪽의 원은 코드를 표시하는 원 대신에 스케일과 유사한 또 다른 키 진행 원을 표시할 수도 있어요. 이
기능은 조옮김(transpose)을 하려는 경우에 매우 유용하죠.
예를 들어, D Major 스케일을 C Major
스케일로 조옮김을 하려는 경우라면, 오른쪽 그림처럼 바깥쪽 원을 D에, 안쪽 원을 C에 맞추세요. 그러면, D 스케일의
A코드는 C스케일의 G코드, D 스케일의 E코드는 C스케일의 D코드, 이런 식으로 한 눈에 알아 볼 수 있게 되죠.